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및 전담부서 인정 관련 경영지도사의 조언(팁)

비즈니스&이슈

by con4you.net 2020. 5. 5. 08:23

본문

안녕하세요! 창업성공코치입니다.

 

저는 경영컨설턴트이며 경영지도사입니다.

 

오늘은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는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및 전담 부서 관련 경영지도사인 저의 조언과 팁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현장에서 다양한 기업들을 많이 만납니다.

 

예비창업자, 창업자,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실로 다양한데요,

 

절세 방안 및 다양한 전략의 일환으로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및 전담 부서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관련 도움 되는 내용을 남기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외부 컨설팅 조직에 의뢰를 하지 마시고 직접 하시면 됩니다.

 

저와 같은 정상적인 경영컨설턴트이면 상관없는데 간혹 기업보험 플랜? CEO플랜? 등의 흑심을 품고 기업부설연구소를 저렴한 가격에 해준다고 하고 제안을 하는 컨설팅 업체도 많습니다.

 

잘 판별하셔야 할 겁니다.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및 전담 부서 관리가 어려운것이 아닙니다.

 

제가 봤을 때 고등학교를 정상적으로 졸업하신 분이라면 누구나 다 할 수 있습니다.

 

1. 인적 요건

2. 물적 요건

3. 관리 요소 (연구 일지)

 

이렇게 3가지에 대한 매뉴얼만 지키면 됩니다.

 

즉. 하라는 것 하면 됩니다.

 

이게 뭐 어렵습니까?

 

일단 아래 기업부설연구소 및 전담 부서 신고관리 시스템이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십니다.

그러면 다양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제도의 목적과 법적 근거, 그리고 담당기관에 대한 소개에 나타나 있습니다.

신고 주체는 누구이며 신고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안내되어 있습니다.

천천히 읽어보시면 되겠습니다.

중요한 건 인정요건인데요,

 

인적 요건과 물적 요건을 맞추시면 됩니다.

 

연구소의 경우와 연구개발 전담 부서의 경우가 다릅니다.

그리고 연구소의 경우

벤처기업, 연구원창업중소기업, 소기업, 중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등 기업의 사이즈에 따라서 신고요건이 모두 상이합니다.

 

연구전담요원이 몇 명이어야 하는지 기업 사이즈에 맞게 인정요건을 준비하면 됩니다.

 

그리고 물적 요건에 대한 부분도 있는데, 이 부분도 해당 요건에 맞추어 최소 기준점을 준비하여 세팅하시면 됩니다.

 

인적 요건을 구체적으로 보겠습니다.

일단 기업 사이즈에 맞는 연구전담요원 인원수를 준비해야 합니다.

연구전담 요원 자격에 대한 부분입니다.

어떤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해당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학사, 석사, 마이스터고 또는 특성화고 졸업자 등 그 기준점이 다르니 확인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요즘 마이스터고 나온 학생들 채용하신 제가 아는 대표님이 계신데 만족도가 높다고 하시더라구요, 젊고 똑똑하니 성실하고 인성 좋은 직원분 잘 뽑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물적 요건입니다.

 

 

물적 요건도 맞추면 됩니다.

 

독립된 연구공간의 기준과 독립되지 않은 연구공간의 기준이 있으니 해당 기준에 맞게 물리적으로 준비하시면 됩니다.

독립된 연구공간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안내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결국 이러한 제도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조세지원과 관세지원 등에 대한 부분이 있기에 그러합니다.

정부에서는 당근을 주고 기업에서는 더 많은 기술 인력을 채용하라는 의미이지요.

 

아래 조세지원을 보면 제일 큰 부분이 연구 및 인력개발비 세액공제에 대한 부분입니다. 일반연구 및 인력개발비에 대한 부분이죠.

아래 보시면 중소기업의 경우 당해 연도 발생액에 25% 수준으로 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관련 디테일한 내용은 아래와 같구요.

 

개인사업자 및 법인사업자 모두 해당되시구요. 

그리고 특정 분야. 즉 신성장동력 산업 및 원천기술 분야의 경우 더 우대합니다.

 

아래 보시면 중소기업의 경우 당해 연도 발생액에 30% 세액을 공제하며, 추가로 더 챙긴다고 되어 있습니다.

정부에서 적극 장려를 하는 범주에 들어가면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영지도사의 저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및 전담 부서 인정 관련 팁을 조금 드렸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의 일부만 공유했구요.

 

추후 포스팅에서는 좀 더 생생하고 도움 되는 내용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창업,비즈니스 등 기업 문제 해결에 도움 되는 내용으로 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창업성공코치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